일산, 고양 파주시의 혈관 건강을 책임지는 혈관외과의원
중심 정맥은 문헌마다 정의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보통 환자의 목, 흉부, 대퇴부 등 몸의 중심에 위치하여 심장으로 혈액을 보내는
큰 정맥들을 지칭합니다. 속목정맥, 겨드랑이정맥, 쇄골하정맥, 무명정맥, 완두정맥, 상대정맥, 하대정맥, 대퇴정맥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사를 맞거나 혈액 채취를 하는 혈관을 말초정맥이라고 하며 몸의 주변부나 끝에 있는 정맥이라는 뜻입니다.
말초정맥으로 주입하기에는 부담되는 약물을 장기간 주입 시
장기간 영양제, 항생제, 수액 치료가 필요한 경우
요양병원 및 장기 입원 환자의 경우 말초 정맥으로의 접근 및 반복적인 채혈이 필요한 경우
응급 투석 또는 투석혈관의 성숙 시기 동안에 투석이 필요할 때
투석혈관의 문제가 있어 더 이상 투석혈관을 사용할 수 없거나 다른 곳으로의 투석혈관 조성술을 고려해야할 때
수액이나 혈액을 빠른 시간 안에 대량 투여할 때
허혈성 일측사지 신경병증
중심정맥관 삽입 후 경우에 따라 병원에서 안내해 드린 기간에 맞춰 주기적으로 소독이 필요합니다. 1주일에 1회 이상 헤파린 희석액 또는 생리식염수 주입이 필요하며,
가벼운 일상생활은 제한이 없으나 관이 삽입된 쪽의 팔로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게 주의하고, 혈압 측정을 하지 않도록 주의 합니다.
제거가 필요한 관 안에 혈전 등으로 수액 주입 등 기능을 할 수 없거나, 삽입 부위의 열감, 통증과 함께 주의 피부가 빨갛게 염증 소견을 보이면
병원에 내원하여 의료진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중심정맥관은 항암포트, 말초삽입중심정맥관, 투석관 카테터 등 다양하며 각각의 경우에 환자의 연령, 혈관의 상태,
중심정맥관의 삽입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